AI가 바꾸는 일상, 모바일 앱이 중요한 이유
2024 월드IT쇼 (World IT Show 2024,WIS 2024)가 4월 17일부터 4월 19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열렸어요. WIS 2024는 2009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전시회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이동통신, ICT 융합 서비스 등 다양한 IT 제품을 선보이고 있죠. 올해 WIS 2024는 어떤 모습이었는지 3줄로 정리했어요.
WIS 2024 3줄 요약!
①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이라는 슬로건 아래 인공지능 기술이 일상의 다양한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었어요.
② 일상이 된 AI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어요. WIS2024에서도 인공지능 윤리, 데이터 보안, 디지털 격차 해소 등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주제들을 다루는 세미나와 포럼이 많이 개최되었어요.
③ 그 결과, 총 30개국 500여 기업이 참가하고 6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어요.
WIS 2024를 보면 작년부터 시작된 생성형 AI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는 모습이에요. 그리고 기존에는 단순히 AI 기술의 우수성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상에 어떻게 적용하고 올바르게 사용할지에 주목하고 있어요. 다시 말해 AI 기술이 단순히 똑똑한 기술이 아니라 일상에서 사람들에게 쓸모 있는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뜻이에요. 그렇기 위해서 AI 기술과 사람들을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요. 우리에게 익숙한 모바일 앱이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어요.
첫 번째 이유! 언제 어디서나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 사람 중 10명 중 9명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방송통신위원회가 2023년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무려 94.8%예요. 세계적인 상황도 비슷한데요. 통신 관련 산업 단체인 영국 GSMA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보유율은 76%를 기록했어요. 이미 많은 사람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니 모바일을 활용하면 누구나 클릭 한 번으로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요.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제작하는 회사들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내놓거나 출시를 준비하고 있어요. 이전에도 삼성의 ‘빅스비’나 애플의 ‘시리’처럼 AI 비서가 있었지만, 이젠 실시간 통역, 메모 요약 등 기존보다 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세계 모바일 인공지능 시장의 규모 역시 2020년 86.6억 달러에서 2030년 848억 달러로 연평균 26.44% 성장할 것으로 예측돼요.
두 번째 이유!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해서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요.
모바일 앱은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요. 위치 정보나 사용자의 선호도, 오디오 및 카메라 데이터 등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모델을 훈련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돼요.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사용자에게 점점 정교하고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요.
이미 모바일 앱에서 AI를 활용한 맞춤형 추천은 자연스러운 모습이에요. 센서타워가 2023년 조사한 모바일 시장 조사에 따르면 인앱 결제가 1억 달러를 돌파한 앱은 총 80개였는데요. 언어 교육 앱인 듀오링고나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넷플릭스나 스포티파이 등의 앱 서비스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교육, 엔터테인먼트, 건강과 쇼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바일 앱 서비스에서 AI 기술이 활용되는 중이에요.
이처럼 AI 기술에 집중한 애플리케이션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요. AI 앱 누적 다운로드 수가 160% 증가, AI 앱 연간 다운로드 수 60% 증가, AI 앱 연간 인앱 구매 수익 추세 70% 증가했어요. AI 앱을 향한 관심이 사람들을 모으는 데 그치지 않고 수익으로 이어진다는 의미예요. 따라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라면 모바일 앱을 통한 경험이 점점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돼요.
중요해지는 모바일 앱, 더 빠르게 만들 수 있는 방법!
모바일 앱을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면 우리의 일상에 AI 기술이 활용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을까요? 그래서 WIS 2024에 방문한 참관객들은 로우코드 앱 개발 SaaS 플렉스튜디오 부스에 많은 관심을 보였는데요. 플렉스튜디오는 앱 개발부터 배포와 운영까지 하나로 가능한 모바일 앱 개발 도구예요. 부스에서는 앱을 개발하는 플렉스튜디오 ‘워크스페이스’와 다양한 시나리오를 실제로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시연을 진행했어요.
실제로 부스에 방문한 많은 참관객이 AI 기술을 활용한 앱을 만들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 문의하셨어요. 플렉스튜디오에서는 Open AI의 Chat GPT 등 생성형 AI의 API를 활용해서 모바일 앱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어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마음에 드는 생성형 AI를 필요한 상황에 맞게 학습시킨 후 플렉스튜디오에 API를 연동해요. 그리고 플렉스튜디오에서 데이터를 연결하고 이벤트를 등록하는 간소화된 앱 개발 과정을 거치면 챗봇 앱을 만들 수 있어요. 플렉스튜디오를 통해 앱 개발에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AI 기술을 더 쉽게 활용하세요.
WIS 2024를 통해 AI 시장의 이야기와 모바일 앱 사례를 보니
AI가 일상이 되는 세상이 이제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드시나요?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을 모바일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플렉스튜디오의 전문 컨설턴트와 함께 고민해 보세요!